최근 산업재해 발생 직후 전국 모든 공사를 전면 중단하는 ‘셧다운’ 현장이 늘고 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dodo
작성일25-08-13 13:49
조회3회
댓글0건
관련링크
본문
최근 산업재해 발생 직후 전국 모든 공사를 전면 중단하는 ‘셧다운’ 현장이 늘고 있다.
사고 현장만 멈췄던 기존 조치와는 다른 모습이다.
건설업계와 주택 시장에서는 이 같은 대응이 이어질 경우 주택 공급 지연이나 공사비 상승 등의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3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DL건설은 지난 8일 경기 의정부시 신곡동 아파트 공사 현장에서 50대 근로자가 추락해 사망한 사고에 대한 조치로 전체 공사현장 44곳의 작업도 무기한 중지했다.
DL건설의 모회사인 DL이앤씨도 지난 9∼10일 전국 공사현장 80여 곳에서 작업을 전면 중단했다가 전날 CSO의 승인을 받은 일부 현장만 공사를 재개했다.
이편한세상 천안역
앞서 포스코이앤씨도 전국 103개 현장의 공사를 전면 중단했다. 이는 지난 4일 발생한 인명사고에 따른 조치로, 강화된 안전 기준과 절차가 마련될 때까지 모든 현장의 공사를 무기한 멈추고 인프라 부문 신규 수주도 잠정 보류하기로 했다.
중대재해 발생 직후 전 현장의 작업을 멈추면 위험 요인을 신속히 점검·보완할 수 있어 재발 방지에 효과적이라는 게 업계의 평가다. 구조물과 장비 상태, 작업 절차 등 현장 전반을 재점검하는 과정에서 그동안 드러나지 않았던 안전 사각지대를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이러한 조치가 낳을 부작용을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분양 일정이 줄줄이 미뤄지고 인건비·자재비 상승으로 공사비 부담이 커질 수 있어서다. 수도권 주요 재개발·재건축 사업이 멈추면 발주처·조합까지 연쇄적으로 일정 지연에 직면할 수 있다.
일례로 DL이앤씨는 서초신동아 주택재건축, 도화1구역 재개발, 대전 삼성4구역 재개발 등 굵직한 정비사업을 진행 중이지만 현재 모두 공사가 중단됐다. 포스코이앤씨도 총사업비 5조3500억원 규모의 서초동 ‘서리풀 복합개발’을 비롯해 신반포21차 재개발, 서울 상봉터미널 부지 주상복합, 분당 느티나무3·4단지 리모델링 등 대형 프로젝트가 멈춰선 상태다.
공공분양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포스코이앤씨가 멈춘 현장 중에는 3기 신도시 사업인 경기도 고양 창릉 2공구 택지 조성사업이 포함돼 있다. 약 9000가구 규모로 2029년이 준공 목표이지만, 지난 4일 이후 열흘 넘게 평탄화 작업을 하지 않고 있다.
DL이앤씨가 부천 대장 신도시에서 민간참여 공공분양 단지인 ‘e편한세상 대장 퍼스티움’은 총 1640가구 규모로 이 가운데 1099가구가 신혼희망타운 공공분양이다. 대장지구 첫 분양 사업이지만 이번 사태로 2027년 예정된 입주 일정이 늦춰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전 현장 셧다운은 강력한 안전 메시지를 주지만 길어지면 모든 이해관계자의 피해가 불가피하다”면서 “주택사업 진척도가 떨어지면 수도권 공급이 지연되고 시장 불안이 커져 주택가격 상승 우려도 재점화될 수 있다”고 지단했다. 그러면서 안전 확보와 공급 안정 간 균형이 필요한 시기라고 덧붙였다.
천안역 이편한세상
원성동 이편한세상
사고 현장만 멈췄던 기존 조치와는 다른 모습이다.
건설업계와 주택 시장에서는 이 같은 대응이 이어질 경우 주택 공급 지연이나 공사비 상승 등의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3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DL건설은 지난 8일 경기 의정부시 신곡동 아파트 공사 현장에서 50대 근로자가 추락해 사망한 사고에 대한 조치로 전체 공사현장 44곳의 작업도 무기한 중지했다.
DL건설의 모회사인 DL이앤씨도 지난 9∼10일 전국 공사현장 80여 곳에서 작업을 전면 중단했다가 전날 CSO의 승인을 받은 일부 현장만 공사를 재개했다.
이편한세상 천안역
앞서 포스코이앤씨도 전국 103개 현장의 공사를 전면 중단했다. 이는 지난 4일 발생한 인명사고에 따른 조치로, 강화된 안전 기준과 절차가 마련될 때까지 모든 현장의 공사를 무기한 멈추고 인프라 부문 신규 수주도 잠정 보류하기로 했다.
중대재해 발생 직후 전 현장의 작업을 멈추면 위험 요인을 신속히 점검·보완할 수 있어 재발 방지에 효과적이라는 게 업계의 평가다. 구조물과 장비 상태, 작업 절차 등 현장 전반을 재점검하는 과정에서 그동안 드러나지 않았던 안전 사각지대를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이러한 조치가 낳을 부작용을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분양 일정이 줄줄이 미뤄지고 인건비·자재비 상승으로 공사비 부담이 커질 수 있어서다. 수도권 주요 재개발·재건축 사업이 멈추면 발주처·조합까지 연쇄적으로 일정 지연에 직면할 수 있다.
일례로 DL이앤씨는 서초신동아 주택재건축, 도화1구역 재개발, 대전 삼성4구역 재개발 등 굵직한 정비사업을 진행 중이지만 현재 모두 공사가 중단됐다. 포스코이앤씨도 총사업비 5조3500억원 규모의 서초동 ‘서리풀 복합개발’을 비롯해 신반포21차 재개발, 서울 상봉터미널 부지 주상복합, 분당 느티나무3·4단지 리모델링 등 대형 프로젝트가 멈춰선 상태다.
공공분양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포스코이앤씨가 멈춘 현장 중에는 3기 신도시 사업인 경기도 고양 창릉 2공구 택지 조성사업이 포함돼 있다. 약 9000가구 규모로 2029년이 준공 목표이지만, 지난 4일 이후 열흘 넘게 평탄화 작업을 하지 않고 있다.
DL이앤씨가 부천 대장 신도시에서 민간참여 공공분양 단지인 ‘e편한세상 대장 퍼스티움’은 총 1640가구 규모로 이 가운데 1099가구가 신혼희망타운 공공분양이다. 대장지구 첫 분양 사업이지만 이번 사태로 2027년 예정된 입주 일정이 늦춰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전 현장 셧다운은 강력한 안전 메시지를 주지만 길어지면 모든 이해관계자의 피해가 불가피하다”면서 “주택사업 진척도가 떨어지면 수도권 공급이 지연되고 시장 불안이 커져 주택가격 상승 우려도 재점화될 수 있다”고 지단했다. 그러면서 안전 확보와 공급 안정 간 균형이 필요한 시기라고 덧붙였다.
천안역 이편한세상
원성동 이편한세상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